본문 바로가기

경제

(5)
폴 크루그먼의 생애 경제학에 지리학을 접목한 최초의 경제학자이자 2008년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폴 크루그먼(Paul Krugman)은 국제무역에 대한 연구로 이전에 사용되던 비교우위보다 더욱 정교한 무역 모델을 구축해 낸다. 현재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한 명인 크루그먼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려고 한다.   폴 크루그먼은 1953년 2월 28일, 뉴욕에서 태어났다. 그의 부모는 데이비드 크루그먼과 아니타 크루그먼으로 러시아에서 미국으로 건너온 유대인 부부이다. 크루그먼의 조부모는 지갑 형편이 그리 좋지 못해서 당시 유행하던 이주 노동자로 생계를 이어 나가다 1922년 벨라루스의 브레스트에서 미국으로 이민 왔다. 크루그먼은 뉴욕의 알바니에서 태어나 나소 카운티(우리나라로 치면 나소군)의 메릭(Merrick..
데이비드 리카도의 생애 영국의 저명한 경제학자 중 하나인 데이비드 리카도(David Ricardo)는 국제 무역 이론의 기초가 되는 비교우위 이론의 창시자이다. 그는 소득 분배, 지대 이론, 노동 가치 이론 등을 다루며 고전경제학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는 항상 불평등을 줄이기 위해 노력했으며, 많은 대중이 경제학을 접근했으면 하는 마음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18세기 대체할 수 없는 경제학자 데이비드 리카도를 알아보려고 한다. 1772년 4월 19일, 영국 런던의 세파르딕 계통의 유대인 사이에서 태어난 데이비드 리카도는 포르투갈과 네덜란드를 거쳐 잉글랜드에 정착했다. 그가 포르투갈계 성씨인 'Ricardo'를 사용하고 있는 것도 포르투갈에서 거주했었기 때문이다. 원래 유대인의 영국 출입은 허용되지 않았다. 1290년 에드워드..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생애 영국의 저명한 경제학자이자 거시경제학의 시초가 되는 케인스 경제학 창시자인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20세기 경제 사상과 정책에 혁명을 일으킨 인물로서 그의 사상은 경제학계에 지울 수 없는 족적을 남겼다. 여전히 학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는 케인스의 발자취를 따라 가보자. 1883년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케인스는 케임브리지 대학의 경제학 교수인 아버지와 지역 정치인으로 활동하는 어머니의 영향으로 교육적인 가정 환경에서 자랐다. 그의 부모는 자식을 많은 애정과 주의 깊은 통찰로 길러냈다. 그들의 애정은 자식들이 언제든지 돌아와서 쉴 수 있도록 평생을 한 집에서만 살았을 정도로. 그러한 부모가 이후 케인스의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아버지의 경우 논리학과 합리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했는데..
알프레드 마샬의 생애 알프레드 마샬은 현대 미시경제학 발달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경제학의 거장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학문적 엄격함과 지적 혁신은 경제사상의 발전에 대한 흥미로운 통찰을 제공한다. 마샬의 통찰력은 현대 경제 이론과 정책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알프레드 마샬은 1842년 7월 26일 영국 런던의 버몬지에서 태어났다. 그는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나 비교적 안정적인 지원을 받으며 살았다. 마샬은 어릴 때부터 학문적 두각을 드러냈는데, 1850년 런던 노스우드의 머천트 테일러스 스쿨(Merchant Taylors' School)에 입학한 마샬은 수학과 라틴어를 포함한 다양한 과목에서 높은 성적을 거뒀다. 특히 수학에서 탁월한 재능을 보였고 이는 전공까지 이어지게 되며, 후에 마샬의 경제 이론과 연구에도 큰 영향을 미쳤..
밀턴 프리드먼의 생애 통화주의(Monetarism)의 창시자이자 1976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밀턴 프리드먼은 개인과 시장의 자유를 옹호하며 자원 할당의 효율성과 경제적 번영, 소비자의 선택을 중시하고자 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의 획기적인 경제 아이디어는 정책과 사상의 틀을 깨기에 충분했다. 이제 그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려 한다. 밀턴 프리드먼은 1912년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나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고 어려운 가정형편에도 불구하고 노력한 끝에 뉴저지의 러트거스 대학에 입학하여 수학과 경제학에 전념했지만 수학과 관련된 시험에서 번번이 낙방하고는 경제학으로 마음을 굳히기에 이른다. 그렇게 경제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시카고학파의 중심지로 여겨지는 시카고..